정서 이론 탐구: 제임스-랑게, 캐논-바드, 샤흐터-싱어 이론 중심으로
감정은 어디에서 오는가? 정서 이론의 다양한 관점들기쁨, 슬픔, 분노, 공포, 놀람, 사랑... 우리의 삶을 풍요롭고 다채롭게 만드는 **정서(Emotion)**는 주관적인 느낌(feeling), 생리적인 변화(physiological response), 그리고 표정이나 행동과 같은 표현적 반응(expressive behavior)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심리 상태입니다. 감정은 우리가 세상과 상호작용하고, 중요한 정보를 받아들이며, 동기를 부여받고,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이토록 익숙하고 중요한 감정이 정확히 무엇이며, 어떤 과정을 통해 생겨나는지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심리학(Psychology) 내에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습니다. 특히, 신체적인 변화(심..
감각과 지각의 세계: 우리는 세상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해석하는가?
세상과의 첫 만남: 감각과 지각, 어떻게 다를까?우리가 매 순간 경험하는 생생한 현실 세계는 어떻게 우리 마음속에 들어오는 것일까요? 아침 햇살의 따사로움, 커피의 향긋한 내음, 친구의 목소리, 스마트폰 화면의 다채로운 색상. 이 모든 경험은 우리 뇌가 외부 세계의 정보를 받아들이고 의미를 부여하는 정교한 과정의 산물입니다. 심리학에서는 이 과정을 크게 **감각(Sensation)**과 **지각(Perception)**이라는 두 단계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감각은 우리의 눈, 귀, 코, 혀, 피부와 같은 감각 기관이 빛, 소리, 화학 물질, 압력 등 외부 환경의 자극 에너지를 탐지하고 이를 신경 신호로 변환하여 뇌로 보내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즉, 외부 세계로부터 원자료(raw data)를 수집하는 단계라..
마음챙김(Mindfulness)과 정신 건강: 현재 순간에 집중하는 연습
지금, 여기에 깨어있기: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우리의 마음은 종종 과거나 미래를 향해 달려가곤 합니다. 지나간 일에 대한 후회나 아쉬움에 머물러 있거나, 아직 오지 않은 미래에 대한 걱정과 불안으로 가득 차 있기도 합니다. 이렇게 마음이 방황하는 동안, 우리는 정작 삶이 펼쳐지고 있는 유일한 시간인 **현재 순간(Present Moment)**을 놓치기 쉽습니다. **마음챙김(Mindfulness)**은 바로 이러한 마음의 습관에서 벗어나, '지금, 여기'에 의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고, 판단하지 않는 태도로 자신의 경험(생각, 감정, 신체 감각, 주변 환경)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림(Awareness)**하는 연습입니다. 마음챙김은 불교의 명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종교적인 색채를 걷어내고 심리..
긍정 심리학: 행복, 강점, 그리고 웰빙을 찾아서
결핍 너머의 가능성: 긍정 심리학의 등장과 목표20세기 심리학은 주로 인간의 정신적 고통, 질병, 역기능에 초점을 맞춰왔습니다. 우울증, 불안, 트라우마 등 '고장 난 부분'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고, 이는 분명 인류의 고통을 경감하는 데 큰 기여를 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만으로는 인간 경험의 전체 그림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성찰 속에서, 20세기 말 새로운 심리학의 흐름이 등장했습니다. 바로 **긍정 심리학(Positive Psychology)**입니다. 1998년 미국 심리학회 회장이었던 마틴 셀리그만(Martin Seligman) 박사에 의해 주창된 긍정 심리학은, 질병이나 약점에만 주목하는 기존 심리학의 '결핍 모델'을 보완하여, 인간의 강점, 미덕, 행복, **웰빙(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