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2)
법정 심리학 (Forensic Psychology): 심리학과 법의 만남 법정 안의 심리학: 법과 만나는 심리학, 법정 심리학 소개영화나 드라마 속에서 범죄자의 심리를 꿰뚫어 보거나, 법정에서 결정적인 증언을 하는 심리학자의 모습은 이제 낯설지 않습니다. 이처럼 **심리학(Psychology)**의 원리와 지식을 법률 문제 및 사법 시스템 전반에 적용하는 **응용 심리학(Applied Psychology)**의 한 분야를 **법정 심리학(Forensic Psychology)**이라고 합니다. 법정 심리학은 **심리학과 법(Psychology and Law)**이라는 두 거대한 분야가 만나는 교차점으로, 인간의 행동과 정신 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법적 질문에 답하고 사법 절차의 공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법정 심리학의 영역은 매우 광범위하여, 범죄 수사 지원..
노년 심리학 (Geropsychology): 노년기의 인지, 정서, 사회적 변화와 성공적인 노화 나이 듦에 대한 이해: 노년 심리학이란 무엇인가?전 세계적으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고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가 가속화되면서, 노화(Aging) 과정과 노년기 삶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습니다. **노년 심리학(Geropsychology)**은 바로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노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변화를 이해하고, 노년기 적응과 정신 건강 문제를 다루며, 궁극적으로 성공적인 노화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입니다. 우리 사회에는 여전히 노년기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 즉 나이가 들면 필연적으로 인지 능력이 쇠퇴하고, 우울해지며, 사회적으로 고립될 것이라는 편견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노년 심리학 연구들은 노화가 단순히 쇠퇴의 과정만이..
문화와 심리: 문화는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어떻게 형성하는가? 다름 속의 우리: 문화와 심리학의 만남인간은 사회적 존재이며, 동시에 문화적 존재입니다. 우리가 속한 사회 집단이 공유하는 신념, 가치, 규범, 관습, 상징 체계 등을 통칭하는 **문화(Culture)**는 우리가 세상을 인식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방식에 깊숙이 영향을 미칩니다. **문화 심리학(Cultural Psychology)**은 바로 이러한 문화가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어떻게 형성하고 또 그 상호작용은 어떠한지를 탐구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전통적인 심리학(Psychology) 연구는 종종 서구의 특정 문화권(WEIRD: Western, Educated, Industrialized, Rich, Democratic)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그 결과가 인류 보편적인 심리 법칙인 것처럼 가정..
건강 심리학 입문: 마음이 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마음과 몸, 하나로 연결되다: 건강 심리학이란 무엇인가?오랫동안 서구 사회에서는 데카르트의 영향으로 마음과 몸을 별개의 실체로 보는 이원론적 관점이 지배적이었습니다. 질병은 주로 신체적인 문제로 간주되었고, 마음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스트레스가 쌓이면 소화가 안 되거나 두통을 느끼고, 반대로 즐겁고 긍정적인 마음 상태일 때는 몸도 가볍고 활기차게 느껴지는 경험은 우리 모두에게 익숙합니다. 이처럼 마음과 몸은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밀접하게 연결되어 상호작용한다는 인식, 즉 **마음-몸 연결(Mind-Body Connection)**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새롭게 주목받게 된 분야가 바로 **건강 심리학(Health Psychology)**입니다. 건강 심리학은 우리의 ..
관찰 학습과 사회 학습 이론: 보고 배우는 것의 힘 보고 따라 하기: 관찰 학습과 사회 학습 이론 소개우리는 어떻게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사회적 규범을 익히며,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판단하게 될까요? 직접적인 경험과 그 결과를 통해 배우는 고전적 조건형성이나 조작적 조건형성도 중요한 학습 방식이지만, 인간 학습의 상당 부분은 다른 사람들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를 관찰 학습(Observational Learning) 또는 모델링(Modeling)이라고 합니다. 아이가 부모의 말투를 따라 하거나, 친구의 행동을 보고 새로운 놀이를 배우거나, 운동선수의 자세를 보고 연습하는 것 모두 관찰 학습의 예입니다. 이러한 관찰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체계적으로 이론화한 심리학자가 바로 **알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입니다..
귀인 이론: 행동의 원인을 어떻게 설명하는가? 왜 그랬을까? 행동 원인 추론의 심리학, 귀인 이론우리는 일상 속에서 마주치는 수많은 사람들의 행동에 대해 끊임없이 '왜?'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친구가 약속 시간에 늦었을 때, 동료가 예상외의 성공을 거두었을 때, 혹은 낯선 사람이 불친절하게 행동했을 때, 우리는 그 **행동의 원인(Cause of Behavior)**이 무엇일지 추측하고 나름의 설명을 만들어냅니다. 이처럼 자신이나 타인의 행동 원인을 추론하고 설명하려는 과정을 심리학에서는 **귀인(Attribution)**이라고 부르며, 이러한 귀인 과정을 연구하는 이론들을 통칭하여 **귀인 이론(Attribution Theory)**이라고 합니다. 귀인 이론은 **사회적 지각(Social Perception)**의 핵심 영역으로, 우리가 사회적 세..
인지 부조화 이론: 생각과 행동이 충돌할 때 마음의 불편한 충돌: 인지 부조화란 무엇인가?우리는 스스로 일관성 있는 존재이기를 원합니다. 자신의 신념, 태도, 가치관에 따라 행동하고, 자신의 행동이 생각과 일치할 때 마음의 평화를 느낍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종종 우리의 생각과 **행동(Behavior)**이 서로 충돌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모순되는 **태도(Attitude)**나 믿음을 동시에 가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건강이 중요하다고 굳게 믿으면서도 담배를 끊지 못하거나, 환경 보호를 외치면서도 분리수거를 제대로 하지 않는 경우가 그렇습니다.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는 이러한 인지적 요소들(생각, 믿음, 태도, 행동 등) 간의 불일치나 모순이 발생할 때 우리가 경험하는 불편한 심..
수면과 꿈의 심리학: 잠자는 동안 우리의 뇌와 마음은 무엇을 할까? 삶의 3분의 1, 잠: 수면의 중요성과 심리학적 탐구우리는 인생의 약 3분의 1을 잠으로 보냅니다. 어떤 이들은 잠자는 시간을 아까워하며 '시간 낭비'라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수면(Sleep)**은 단순히 활동을 멈추고 쉬는 수동적인 상태가 아닙니다. 잠은 우리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Mental Health)**을 유지하고 최적의 기능을 발휘하는 데 필수적인, 매우 능동적이고 복잡한 생리적 과정입니다. 충분하고 질 좋은 수면은 다음 날의 활력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학습, 기억, 감정 조절, 면역 기능 등 삶의 거의 모든 측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수면 심리학(Psychology of Sleep)**은 바로 이 잠이라는 신비로운 세계를 탐구하는 분야입니다. 잠자는 동안 우리의 뇌와 ..